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산재
- 진폐증
- 산재닷컴
- 산재예방
- 뇌경색산재
- 휴업급여
- 뇌경색
- 박영일노무사
- 과로사
- 공인노무사
- 산업안전
- 산업재해
- 심근경색산재
- 산재처리
- 산재상담
- 산재보상
- 산재 산재보상 산재상담 산재처리 노무사
- 산재적용
- 산재승인
- 산재서식
- 요즘
- 노무사
- 뇌출혈산재
- 산재노무사
- 산재보험
- 과로사산재
- 과로사노무사
- 근로복지공단
- 산재보상 산재 산재처리 산재상담
- 뇌출혈
- Today
- Total
박영일노무사의 과로사 산재 상담실
서비스업의 산재발생율 얼마나 될까요? 본문
안녕하신지요. 산재닷컴의 박영일노무사 입니다.
오늘 전해드릴 소식은 서비스업의 산업재해(산재) 발생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흔히 산재하면 건설업이나 제조업에서 많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전체 산재사고 발생 건 수 중 30%가 서비스업입니다.
< 서비스 업 산업재해(산재)의 예 3가지>
❖2011. 4월 아파트 경비원인 C씨가 사다리에 올라 나무 전지작업 중 사다리에서 중심을 잃고 떨어져 부상을 당함
❖2011. 5월 서울의 한 치킨업체 배달원인 A씨. 오토바이로 배달을 하다 아파트 입구 교차로에서 신호를 무시하고 교차로를 지나는 중 맞은 편 차량과 충돌하여 사망함.
❖2011. 6월 음식점 주방에서 일하는 B씨는 설거지를 하기 위해 뜨거운 물을 담아 옮기던 중, 바닥에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뜨거운 물에 화상을 입음
따라서, 서비스 업체 중 프렌차이즈 업체, 음식업, 건물관리업 등 서비스 산업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공동노력이 전개된다고 합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백헌기)은 전체 산업재해자 10명 중 3명 정도를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7대 재해다발 업종을 선정하고 관련 기관 및 단체와 공동 재해 예방활동에 나선다고 하는데요.
서비스업의 경우, 지난해 총 33,170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여, 업종별로 제조업 다음으로 재해자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 2010년 업종별 근로자수 및 산업재해자 (단위 : 명)
업종 구분 |
총계 |
서비스업 |
건설업 |
제조업 |
운수창고업 |
기타 |
근로자수 |
14,198,748 |
6,295,455 |
3,200,645 |
3,196,182 |
711,094 |
795,372 |
산업재해자 |
98,645 |
33,170 |
22,504 |
34,069 |
4,365 |
4,537 |
- 특히, 서비스업 중 음식 및 숙박업종에서 가장 많은 재해자가 발생했으며, 다음으로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건물 등 종합관리업의 순으로 많이 발생했습니다.
▪ 서비스업 산재다발 7대 업종 (단위 : 명, 2010년 산업재해자 기준)
업종 구분 |
총계 |
음식 및 숙박업 |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
건물등 종합 관리업 |
위생 및 유사 서비스업 |
보건 및 사회 복지 사업 |
임대 서비스업 |
교육 서비스업 |
기타 |
산업재해자 |
33,170 |
7,552 |
6,771 |
4,347 |
2,931 |
2,832 |
2,511 |
1,872 |
4,354 |
❍ 이에 따라 공단은 서비스업 재해가 다발하는 7대 업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위해 관련 기관 및 단체와 업무협약을 통한 공동 재해예방 활동에 나선다고 합니다.
- 공단은 우선, 6일(화) (사)한국프렌차이즈협회, 교촌치킨 등 12개사와 음식업종 산재예방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21(수)에는 (사)전국아파트입주자 대표회의 연합회 등 5개사와 협약을 체결합니다.
❍ 협약에 따라 공단은 각 협회와 기업의 회원사, 가맹점을 대상으로 안전보건 교육, 자율안전점검캠페인, 안전보건 업무매뉴얼 제작 등의 공동활동을 추진합니다.
❍ 공단은 앞으로 업무협약을 맺은 기관 및 단체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세부 업종별 재해예방자료를 개발‧보급하는 한편, 기술지원 등의 협력사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 백헌기 공단 이사장은 “서비스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휴업이나 폐업이 많고 근로자의 잦은 이직으로 체계적인 재해예방 노력이 쉽지 않다”며 이번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공동 노력으로 재해감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산재 새소식 · 산재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기준, 노동법] 커피전문점 노동관계법 위반을 긴급 점검한다는데... (0) | 2011.09.20 |
---|---|
[산재보험, 산재보상]산재보험법의 산재보상 중에서 기여도는 무엇일까요? (0) | 2011.09.16 |
[산재처리, 산재] 쯔쯔가무시의 산재처리 (0) | 2011.09.05 |
[산재예방, 산업재해]고용부, 백혈병 물의 빚은 삼성반도체 근로자 보건관리 강화 (0) | 2011.08.19 |
[산재예방, 산업안전] 위험기계 안전인증 기준이 합리화 된다 (0) | 201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