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뇌경색
- 산재적용
- 산재처리
- 산재보상
- 과로사
- 노무사
- 근로복지공단
- 산재닷컴
- 산재
- 산재 산재보상 산재상담 산재처리 노무사
- 산재예방
- 과로사산재
- 산재노무사
- 산업안전
- 뇌출혈산재
- 뇌경색산재
- 산재보험
- 산업재해
- 공인노무사
- 과로사노무사
- 진폐증
- 산재상담
- 산재보상 산재 산재처리 산재상담
- 심근경색산재
- 산재승인
- 휴업급여
- 요즘
- 산재서식
- 뇌출혈
- 박영일노무사
- Today
- Total
박영일노무사의 과로사 산재 상담실
[산재보험, 상병보상연금]상병보상연금의 산정원칙 본문
안녕하신지요. 산재닷컴의 박영일노무사 입니다. 좋은 하루되고 계신지요.
오늘은 어제 말씀드린 산재보험법상의 산재급여 중 하나인 상병보상연금의 산정원칙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상병보상연금은 일반적으로 산재보험법상 휴업급여를 받고 있는 근로자가 2년 이상의 요양을 계속하는 경우에 해당 근로자의 생계안정을 위해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산재보험법상의 휴업급여 보다 많은 금액이 지급되게 될 것인데요. 이하에서는 산재급여 중 상병보상연금의 산정원칙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산재 휴업급여액 산정
❍ 평균임금의 70%를 1일 휴업급여액으로 하여 요양기간 중 미취업기간에 대하여 지급
❍ 휴업급여액 = 평균임금 × 0.7 × 요양기간 중 미취업기간 일수
산재 상병보상연금액의 산정
❍ 평균임금에 해당 폐질등급에 대한 상병보상연금 지급일수를 곱하여 연간 상병보상연금액을 산정하고 그 금액을 365로 나눈 금액이 1일 상병보상연금액이 됨
1일 상병보상연금액 = 평균임금 × 폐질등급일수 / 365 |
- 상병보상연금액 산정과 관련해서는 월단위 지급방식이 일일단위 지급방식으로 변경되면서 연간 상병보상연금액을 365로 나눈 1일 상병보상연금액에 지급일수를 곱하여 상병보상연금 산정
❍ 상병보상연금 지급에 폐질등급에 따른 상병보상연금 지급일수는 장해보상연금 지급일수와 동일하고 휴업급여 비교하였을 때 폐질등급에 따라 다음과 같음
폐질등급 |
상병보상연금 |
|
휴업급여(70%)와의 비교 |
제 1 급 제 2 급 제 3 급 |
평균임금의 329일분 평균임금의 291일분 평균임금의 257일분 |
|
평균임금의 90.14% 평균임금의 79.73% 평균임금의 70.41% |
'산재보험 급여 종류 · 내용 > 휴업급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재보상, 산재] 산재 요양기간 중 취업한 경우에 휴업급여는? (0) | 2011.08.02 |
---|---|
[산재보상,상병보상연금] 상병보상연금의 청구 (0) | 2011.03.07 |
[산재보상,상병보상연금] 산재보상 중 상병보상연금 이란? (0) | 2011.03.01 |
(산재보험,산재보상)시의원직 수행을 한다면 산재보험의 휴업급여 지급은? (0) | 2011.02.21 |
(산재보험,산재처리) 산재휴업급여 지급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사례들 (0) | 2011.02.17 |